> 파일공법 > 슬러지제거 강관 마이크로파일 공법 > 공법의 개요
공법의 개요
개발 기술의 개요
1. 기존 마이크로파일
1950년대 이탈리아에서 노후화되거나 손상을 입은 건물의 보강을 위해 root pile이란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직경이 30cm이하로 강재로 보강되어 선천공 후 그라우팅하는 현장타설 말뚝의 일종이다.
모든 종류의 토질조건에 시공이 가능하며 주변구조물이나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암반 천공부의 그라우트와 지반사이의 마찰저항력으로 설계하중을 지지한다. 직경이 작고 선단 슬라임의 처리가
쉽지 않으므로 지지력 산정 시 선단지지력은 무시하나 선단 슬라임의 존재는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슬라임의 제거를 통하여 파일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
01 선단 지지판(슬라임제거판)
- 선단 지지판의 필요성
1) 선단 슬라임 제거 장치
암 굴착 완료 후 마이크로파일 근입 시 본 선단지지판을 최하단에 체결하여 회전 근입작업을 수행하여,
선단지지판의 석분 배출구 및 배출유도돌기를 통해 암굴착 중 발생한 슬라임을 상부로 배출하며
굴착 최하단까지 도달시킴으로서 마이크로파일의 선단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슬라임으로 인한 말뚝의 품질저하, 급격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02 지압 헤드 (두부플레이트)
- 기존 지압헤드의 문제점
기존 마이크로파일 시공 시에는 두부에 지압판 (통상 두께 30mm)의 정사각형 플레이트를 상하부의 너트로 고정시켜
두부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일체화를 위한 하부철근이 교차하여 통과하는 지압판-지반층간 공간이 협소하여
지압판 하부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압판 시공의 편의성 및 양방향 거동을 고려하면 지압판의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나,
재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정사각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높이 맞춤을 위해 원형너트 2개를 상하에 설치해야 해 작업이 불편하고 재료 낭비가 발생한다.

- 개선된 지압헤드
- 두부 콘크리트 타설 시 통과구를 통해 하부로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통과, 마이크로파일과 콘크리트가 건전하게 일체화됨
- 원형 구조로 시공 용이, 양방향 거동에 유리, 복잡한 형상 설계 가능
- 내면 나사산 가공으로 별도 너트 불필요, 시공 간편, 재료 절감

03 복합기능 커플러
- 기존 커플러 및 간격재 문제
- 내부 나사산은 있으나 파일 단부 위치 파악 어려움 → 비대칭 연결 우려
- 인장력 집중 구간에도 두께 동일 → 효율성 낮음
- PVC 간격재는 직경별 제작 어려움, 강성 부족 → 기능 보장 어려움

- 개선된 복합기능 커플러
- 내부 스토퍼 설치 → 상하부 파일 균등 연결
- 인장력 높은 구간 직경 확대, 낮은 구간 직경 축소 → 재료 효율적 사용
- 커플러 외측에 간격재 일체형 설계 가능, 금속재 제작으로 강성 확보
- 커플러와 간격재 일체화 → 별도 설치 불필요

> 파일공법 > 슬러지제거 강관 마이크로파일 공법 > 시공순서
시공순서
시공순서

> 파일공법 > 슬러지제거 강관 마이크로파일 공법 > 주요실적
주요실적
순번 | 공사명 | 발주처 | 공사기간 |
---|---|---|---|
1 | LG전자 창원2공장 154kV변전소 공사 중 마이크로파일공사 | LS일렉트로닉 | 24.10~24.10 |
2 | 명덕역 퍼스트마크 신축공사 중 마이크로파일공사 | DL이앤씨 | 25.03~25.03 |